생산자물가지수가 의미하는 것은?
금리가 오르면서 자주 나오는 용어중
소비자물가지수와 생산자물가지수가 나옵니다.
그-래서 생산자물가지수가 무엇인지 정리 해 보았습니다.

요약하면.
경제순환이 어느 단계에 있느냐를 파악을 한다.
대신, 그 입장이 생산자 판매가격에 입각하는 것.

생산자물가지수
소비자물가지수(통계청 작성)는
소비자의 구매력을 가늠하는 지수
생산자물가지수(한국은행 작성)는
기업의 비용증가, 즉 생산원가와 관련이 있다.

생산자물가지수는
국내생산자가 국내(내수)시장에 공급하는 상품 및 서비스의 가격의 변동을 종합한 지수(한국은행에서 매월 작성하여 공표)
생산자물가지수는 상품 및 서비스의 수급동향 파악과 경기동향 판단지표
GDP디플레이터 등으로 이용된다.

지수작성에 이용되는 가격은 기초가격(basic prices)을 원칙
( 기초가격은 생산자가 실질적으로 수취하는 가격)
판매과정에서 발생하는 주세, 담배소비세, 부가가치세 등 (세금 미포함)
생산과정에서 수취한 생산물 보조금을 합산한 가격이다.
국가지수체제에는
1.생산자물가지수

2.국내공급물가지수

국내공급물가지수는
생산자물가지수의 포괄범위 + 수입품까지 포함
국내시장에 공급되는 상품 및 서비스의 가격수준을 측정하여 지수화한 것

국내공급물가지수는
가공단계별 → 즉 원재료 · 중간재 · 최종재
(자본재 및 소비재)로 지수가 구분
물가의 단계별 파급 과정을 파악하는 데 용이하다.
한편 2010년=100 기준 지수부터는 생산자물가지수의 포괄범위에 수출품까지 포함하여 국내기업이 산출한 상품 및 서비스의 종합적인 가격수준을 측정하여 지수화한 총산출물가지수를 편제하여 발표하고 있다.
3.총산출물가지수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