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시가격이란?

정부가 조사. 산정해 공시하는 가격
토지 지가 산정 등 부동산 가격의 지표가 되는 가격을 말한다.
★ 공제금액이란?

세금, 업무 수행에 필요한 수수료를 공제한 액수
★공정 시장 가액 비율

세금을 부과하는 기준이 되는
과세표준을 정할 때 적용하는 공기 가격의 비율
매년 5% 포인트씩 공정 시장 가액 비율이 높아진다.
▶집값이 오르지 않고 그대로 유지되더라도 세금은 증가한다.
★과세표준이란?

세금을 부과함에 있어서 기준이 되는 것
세액계산 흐름도[개인]
공시가격 - 공제금액 x 공정시장 가액비율(주택분60%, 토지분100%)
=종부세과세표준(1)
결국은 위에 있는 계산식은
1. 공시가격: 정부가 조사, 산정해서 그곳의 가격을 측정
2. 공제금액: 세금, 업무 수행에 필요한 수수료를 공제한 액수
3. 공정시장 가액비율: 과세표준을 정할 때 적용하는 공기 가격의 비율
4.종부세과세표준: 부동산 세금을 부과하는 기준
종부세과세표준(1) x 세율(%) = 종합부동산세액(2)
두번째 계산식도 이해해 보자
1.종부세과세표준: 부동산 세금을 부과하는 기준
2.세율: 과세표준에 납부하여야 할 세액의 비율

세율이란?
3.종합부동산세액: 부동산 투기 억제 목적의 세액

종합부동산세액(2) -공제할재산세액 = 산출세(3)
세 번째 계산식도 이해해 보자
1.종합부동산세액: 부동산 투기 억제 목적의 세액
2.공제할재산세액: 납부한 재산세 중 종합부동산세와
중복 공제를 적용하는 것
3.산출세: 수식을 통해 나온 결과의 세액
마지막 계산식도 이해해 보자
산출세(3) - 세액공제(%) - 세부담상한초과세액 = 납부할세액
1.산출세: 수식을 통해 나온 결과의 세액
2.세액공제: 국가에 낼 세금을 공제하는 세금 혜택

3.세부담상한초과세액: 재산세, 종합부동산세 세부담상한선
(세부담상한초과액은 정말 쉽게 설명한 글이 없네요
그나마 이게 가장 쉽게 설명한 글입니다.)
4.납부세액: 돈 지불해야 할 금액
마지막으로 종합부동산 세액계산 방법 전체 식을 적어둡니다.
공시가격 - 공제금액 x 공정시장 가액비율(주택분60%, 토지분100%)
=종부세과세표준(1)
▼
종부세과세표준(1) x 세율(%) = 종합부동산세액(2)
▼
종합부동산세액(2) -공제할재산세액 = 산출세(3)
※공제할재산세액 이란?
종합부동산세 과세표준금액에 부과된 재산세 상당액
▼
산출세(3) - 세액공제(%) - 세부담상한초과세액 = 납부할세액
이번에 글을 정리하면서 종합부동산세를 구하는 방법에 대해 확실하게 알게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