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종합부동산 세액계산의 의미/종합부동산 뜯어보기

by 데라데라 2023. 7. 24.

★공시가격이란?

정부가 조사. 산정해 공시하는 가격

토지 지가 산정 등 부동산 가격의 지표가 되는 가격을 말한다.

★ 공제금액이란?

세금, 업무 수행에 필요한 수수료를 공제한 액수

★공정 시장 가액 비율

세금을 부과하는 기준이 되는

과세표준을 정할 때 적용하는 공기 가격의 비율

매년 5% 포인트씩 공정 시장 가액 비율이 높아진다.

▶집값이 오르지 않고 그대로 유지되더라도 세금은 증가한다.

★과세표준이란?

세금을 부과함에 있어서 기준이 되는 것

세액계산 흐름도[개인]

공시가격 - 공제금액 x 공정시장 가액비율(주택분60%, 토지분100%)

=종부세과세표준(1)

결국은 위에 있는 계산식은

1. 공시가격: 정부가 조사, 산정해서 그곳의 가격을 측정

2. 공제금액: 세금, 업무 수행에 필요한 수수료를 공제한 액수

3. 공정시장 가액비율: 과세표준을 정할 때 적용하는 공기 가격의 비율

4.종부세과세표준: 부동산 세금을 부과하는 기준

종부세과세표준(1) x 세율(%) = 종합부동산세액(2)

두번째 계산식도 이해해 보자

1.종부세과세표준: 부동산 세금을 부과하는 기준

2.세율: 과세표준에 납부하여야 할 세액의 비율

세율이란?

3.종합부동산세액: 부동산 투기 억제 목적의 세액

종합부동산세액(2) -공제할재산세액 = 산출세(3)

세 번째 계산식도 이해해 보자

1.종합부동산세액: 부동산 투기 억제 목적의 세액

2.공제할재산세액: 납부한 재산세 중 종합부동산세와

중복 공제를 적용하는 것

3.산출세: 수식을 통해 나온 결과의 세액

마지막 계산식도 이해해 보자

산출세(3) - 세액공제(%) - 세부담상한초과세액 = 납부할세액

1.산출세: 수식을 통해 나온 결과의 세액

2.세액공제: 국가에 낼 세금을 공제하는 세금 혜택

3.세부담상한초과세액: 재산세, 종합부동산세 세부담상한선

(세부담상한초과액은 정말 쉽게 설명한 글이 없네요

그나마 이게 가장 쉽게 설명한 글입니다.)

4.납부세액: 돈 지불해야 할 금액

마지막으로 종합부동산 세액계산 방법 전체 식을 적어둡니다.

공시가격 - 공제금액 x 공정시장 가액비율(주택분60%, 토지분100%)

=종부세과세표준(1)

종부세과세표준(1) x 세율(%) = 종합부동산세액(2)

종합부동산세액(2) -공제할재산세액 = 산출세(3)

※공제할재산세액 이란?

종합부동산세 과세표준금액에 부과된 재산세 상당액

산출세(3) - 세액공제(%) - 세부담상한초과세액 = 납부할세액

이번에 글을 정리하면서 종합부동산세를 구하는 방법에 대해 확실하게 알게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