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물가는 왜 오르고, 경기 침체는 무엇인가?

by 데라데라 2023. 7. 27.

금리가 올라가면 올라갈수록

많이 나오는 것이

소비자물가지수 와 경기 침체에 관한 뉴스이다.

그럼

도대체 소비자물가지수와 경기 침체의 관계는 어떻게 되는 것일 가?

소비자물가지수

이 내용이 우리가 가장 이해하기 쉽고 가장 와닿을 거 같다.

"소비생활을 영위하기 위해 구입하는 소비재와 서비스의 가격 변동을 나타낸 지수"

재미난 것은

월별로 소비자물가지수를 보면 올라가거나 내려가는 경우가 있지만

월별이 아닌 연으로 검색해 보면

소비자물가지수는 한 번도 떨어진 적이 없다.

와....

한마디로 물가는 계속 오른다는 것이다.

단지 그것이 급격하게 오르냐 천천히 오르냐의 차이

원점으로 돌아와서

그럼 물가는 왜 오르는가?

쉽게 설명하기 위해 비슷한 뉴스를 삽입해 보았습니다.

1. 에너지

2.식료품 가격

3. 수요자 측 물가 상승압력

4. 공급 병목현상

5. 임금상승

6. 주거비와 유동성 등

그럼 '경기 침체'는

무엇을 보고 경기 침체라고 하는지 알아보자

쉽게 설명하기 위해 비슷한 뉴스를 삽입해 보았습니다.

1. 영업활동 저하

2. 가격하락

3. 감소된 구매력

4. 수요를 초과하는 공급

5. 실업증가

6.재고 누적

7.디플레이션

8.공장감축

이와 같이 악순환이 계속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럼 물가가 오를 때 왜 금리를 올리는가?

과연 금리를 오르면 물가를 잡을 수 있는가에 대해 알아보자!

★금리는 무엇인가?

자본시장에서 돈을 빌리려는 사람과 빌려주는 사람이 만나

결정된 돈의 값어치가 ‘금리’이다.

 

일반적으로 금리는

1. 수요가 증가하면 가격 ▲ → 호황 → 소비심리 개선 → 대출 ▲ → 금리 ▲

2. 수요가 감소하면 가격 ▼ → 불황 → 소비심리 얼음 → 대출 ▼ → 금리 ▼

 

중앙은행이 기준금리를 변경하면 → 시장 이자에 영향을 미침

▶.주식,채권,부동산과 같은 자산 가격 변동시킴

 

중앙은행이 기준금리를 인상했을 때

▶일반은행은 전보다 보수적인 기준으로 대출

▶외환시장에서 자국의 화폐가치 ▲ → 수출 ▼ → 수입 ▲

 

경기가 과열됐다고 중앙은행이 판단했을 때

:금리 인상 → 자산 시장을 안정 → 과도한 대출 or 총수요 증가 억제 → 물가 상승 억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