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8

생산자물가지수가 의미하는 것은? 금리가 오르면서 자주 나오는 용어중 소비자물가지수와 생산자물가지수가 나옵니다. 그-래서 생산자물가지수가 무엇인지 정리 해 보았습니다. ​ 요약하면. 경제순환이 어느 단계에 있느냐를 파악을 한다. 대신, 그 입장이 생산자 판매가격에 입각하는 것. ​ ​ 생산자물가지수 소비자물가지수(통계청 작성)는 소비자의 구매력을 가늠하는 지수 ​ 생산자물가지수(한국은행 작성)는 기업의 비용증가, 즉 생산원가와 관련이 있다. ​ ​ ​ 생산자물가지수는 ​ 국내생산자가 국내(내수)시장에 공급하는 상품 및 서비스의 가격의 변동을 종합한 지수(한국은행에서 매월 작성하여 공표) ​ 생산자물가지수는 상품 및 서비스의 수급동향 파악과 경기동향 판단지표 GDP디플레이터 등으로 이용된다. ​ ​ 지수작성에 이용되는 가격은 기초가격(ba.. 2023. 7. 23.
여러분은 연금에 대해서 얼마나 알고 있나요? 우리나라 연금가입자 수는 몇명? 국민연금 이 국민연금에 대해서 제대로 많이 모르는 분들이 많았습니다. 저 또한 연금에 대해서 잘 알지 못해 정리 한번 해 보았습니다. 부족한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양해 바랍니다. ​ ​ 연금은 공적연금과 사적연금이 존재합니다. ​ 그중 공적연금에 속하는 것이 1.국민연금 (특별법에 의해 연금이 적용되는 공무원,군인,사립학교 교직원을 제외) ​ ▶18세 이상 60세 미만의 국내 거주 국민은 국민연금을 받기 위해서 정기적으로 일정액을 국가에 납부해야 한다. ​ 출처: 공무원연금 2.공무원연금 출처: 군인연금 3.군인연금 -아쉽게도 얼마씩 받는지 실수령은 나와 있지 않았습니다. 전부 단위가 원이 아닌, 받는 명수로만 나타나 있었습니다. 출처: 사학연금 4.사학연금 ​ [사적연금이란?] ​ 그렇다면 이제 .. 2023. 7. 23.
KT포인트 영화예매 한달이 지나서 또 다시 KT 포인트로 롯데시네마 영화보러 갑니다 ㅎㅎ 영화값 너무 비싸요 ㅜㅜㅜ 오늘은 블랙폰을 보러 갑니다.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포인트 할인으로 11,500원에 2명 보러 갔다오겠습니다. 2023. 7. 23.
미국-개인소비지출(PCE)란? 미국의 개인소비지출(PCE)은 미국 정부가 인플레이션의 정도를 파악하고 금리 인상이나 인하 유무를 판단하는 주요 지표입니다. 미국-개인소비지출(PCE)란? 요약하면 '개인'들이 쓴 돈의 총액이다. 좀 더 자세히 알아보면 개인소비지출='개인'들이 쓴 돈의 총액을 보고 미국 정부가 인플레이션(물가상승)의 정도를 파악해 금리 인상이나 금리 인하 유무를 판단하는 주요 지표이다. 당연히 우리나라에도 이와 관련된 뉴스가 많이 나온다 좀 더 자세히 그래프를 본다면 미국 금리표와 비교해 보면 확실히 연관이 있다는 것을 볼 수 있다. 2023. 7. 22.